최근 2년 간 사회·환경을 고려한 ESG 투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국내 Good Capital 시장은 급격히 성장했습니다. 국내 임팩트 투자 규모는 2년 전과 비교해 약 2배 성장했고, 사회책임투자 규모는 200조원을 넘어섰습니다(2021년 6월 말 기준). 이슈&임팩트 데이터연구소 IM.Lab에서는 국내·외 Good Capital 시장의 지난 2년 간 변화를 살펴봅니다.

01. 국내 임팩트 투자시장

2021년 기준 국내 임팩트 투자 시장 규모는 약 7,300억원 규모이며, 실제 펀드 조성액은 이보다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18년 이후 25배, 2년 전에 비해 약 2배가 증가한 규모다. 2018년부터 모태펀드(한국벤처투자)와 성장사다리펀드(한국성장금융)가 출자한 금액은 약 3,800억원으로 전체 임팩트 펀드 결성액의 약 53%를 차지하고 있다.  2020년 신규 임팩트 펀드 조성액은 약 1,237억원으로 2020년 벤처펀드 조성액(6조 5,676억원)의 1.9% 수준으로 여전히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2019년부터 도시재생, 환경, 로컬 등 특정 분야에 투자할 목적으로 조성한 펀드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더웰스 도시재생투자조합(더웰스인베스트먼트), 강원 피크닉 투자조합(소풍벤처스), 케이디비 대성-HGI그린임팩트 투자조합(에이치지이니셔티브)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인비저닝 파트너스는 기후기술 기업에 투자하는 667억원 규모의 클라이밋 솔루션 펀드를 조성했으며, 이는 지난 2년 간 결성 완료된 임팩트 펀드 중 가장 큰 규모다.

02. 글로벌 임팩트 투자 현황

2020년 기준 글로벌 임팩트 투자 규모는 2019년에 비해 42% 증가한 7,150억 달러(약 849조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 GIIN에서 임팩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설문 결과에 따르면 조사 응답 기관(289곳)에서 가장 많은 투자가 이루어진 분야(2019년 총 운용액(AUM)기준)는 에너지(16%)이고, 금융(마이크로파이낸스 제외)(14%)과 산림/임업(Forestry)(11%)과 농·식품(10%)이 각각 뒤를 이었다. 또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향후 5년 간 농·식품(54%), 에너지(53%), 헬스케어(51%) 부분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이라고 답했다.

임팩트 투자자 대다수는 임팩트 투자 산업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임팩트 워싱(Impact Washing)'을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6%가 향후 5년 동안 임팩트 투자 시장에서 가장 큰 도전 과제로 임팩트 워싱이라고 답했고, '임팩트 결과 입증의 어려움(35%)'과 '임팩트 결과간 비교의 어려움(34%)' 순으로 중요 과제를 꼽았다.

03. 국내·외 사회책임투자(SRI) 시장

국내 사회책임투자(SRI) 규모는 약 213조원으로 50조원을 밑돌았던 2018년 말 대비 약 4배 이상 증가했다(2021년 6월 말 기준). 하지만, 글로벌 대비 높은 수준은 아니다. 국내 전체 자본시장(KOSPI+KOSDAQ+KONEX) 대비 SRI 비중은 7.9%로 2018년과 비교해 4.8% 증가했으나, 유럽(41.6%), 미국(33.2%), 일본(24.3%)에 비해 여전히 낮다(2020년 말 기준).  SRI 시장에서 국민연금, 사학연금 등을 포함한 공적금융이 전체 금융 섹터 내에서 절반이 넘는 63%를 차지하고 있다(2020 한국 ESG금융 백서).

2020 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Review(GSIR)에 따르면 2018년에 30.6조 달러였던 글로벌 사회책임투자 시장은 지난 2년 동안 약 15% 증가한 약 35.3조 달러 규모로 조사됐다. 글로벌 운용 자산 중 SRI 비중은 35.9%로 2018년(33.4%)보다 2.5%p 증가했다. SRI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캐나다(61.8%, 2조 4230억 달러)이며 2018년에 비해 무려 42.6%나 증가했다. 반면 한국 경우 SRI 비중은 7.9%로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또한 ESG 통합은 SRI 투자 전략에서 가장 많은 비중(약 43%)을 차지하고 있으며, 네거티브 스크리닝, 기업 참여 및 주주행동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지속가능 테마 및 ESG 통합 투자 전략 운용 규모는 2016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Source: 2020 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Review(GSIA), 2019&2020 Global Impact Investor Survey(GIIN), 2020 한국 ESG금융 백서(한국책임투자포럼·이용우 의원) 등을 바탕으로 Triplelight 분석·정리

아래 버튼을 통해 리포트를 다운로드 하세요. 감사합니다! 
리포트 다운로드
이름, 이메일 주소, 체크박스를 다시 확인해주세요!
No items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