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한 해 동안 언론이 주목한 사회문제는 무엇이었으며, 어떤 기업의 S(사회)리스크가 화두가 되었을까요. 트리플라잇의 이슈 & 임팩트 데이터연구소 IM.Lab에서 5만여 건의 뉴스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제품 품질 및 안전(37.3%), 산업 안전(26.7%), 상생 및 동반 성장(26.7%), 인권 및 근로 환경(16.5%) 순으로 보도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지난 10월 벌어진 '카카오 먹통 대란'은 서비스 품질, 보안, 동반 성장 등 다양한 S리스크가 중첩된 이슈로 소비자 평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2022년을 마무리하며, 올 한 해 이슈가 된 사건들을 데이터를 통해 짚어봅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원년... 현대제철 대기업 최초로 기소
- 지난 1월 11일, 광주 화정동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건물 외벽이 붕괴돼 근로자 6명이 실종되는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보름 가량 앞둔 사고였기에 많은 기업들의 관심이 컸던 사건이었습니다.
- 1월 27일, 산업재해에 대해 기업의 경영책임자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됐습니다. 연이은 안전사고와 건설사의 부실시공 등을 해당 법이 도입하게 된 배경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건설사 부실시공 이슈, 데이터로 깊게 읽기
- 3월 2일, 충남 당진시에 위치한 현대제철 공장에서 노동자가 공장 내 대형 용기(도금 포트)에 빠져 숨지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불과 3일 만에 현대제철 예산공장에서 하청업체 소속 직원이 철골구조물에 깔려 사망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11월 27일, 올해 3월에 발생한 사망 사고와 관련해 현대제철 안동일 사장과 하청업체 등을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기소 의견으로 송치했다고 밝혔습니다.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대기업이 해당 법의 위반으로 검찰 수사를 받게 된 것은 처음입니다.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열 달 간(1월 27일~11월 30일) 519건의 산업재해로 544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2021년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는 828명이었습니다.
- 한편, 고용노동부는 지난 11월 30일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발표하며 현재 '처벌' 위주 규제에서 벗어나 '자기규율' 방식으로 예방 체계를 전환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야당과 노동계는 사실상 경영자 처벌 규정을 완화하려는 시도라며 반발하고 있어, 중대재해처벌법 개정과 관련된 논란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대기업 혼란 가져온 '임금피크제' 판결
- 지난 5월, 대법원은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퇴직자가 낸 임금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가 무효라고 판결 내렸습니다. 연령만을 이유로 노동자에게 임금피크제를 적용한 것은 '차별'이라고 판단한 것입니다.
- 대법원 판결로 기업들은 혼란에 빠졌습니다. 대기업의 상당수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은 전체로는 22% 수준이지만, 300명 이상 중견 기업은 52%, 1000명 이상 대기업은 62%에 달합니다.
- 판결 이후 임금피크제 관련 소송 또한 기업 전반으로 확산됐습니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KB증권, 이랜드리테일, KT, 한국농어촌공사 등의 노동자들이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 다만, 하급심에서는 판결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지난 6월 16일, KT 전현직 직원 1300여명이 제기한 소송에서 서울중앙지법은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는 "정년연장이 임금 삭감의 보상 차원이므로, 임금피크제를 연령차별로 볼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포스코, 직장 내 성희롱 이슈로 몸살
- 6월 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에 근무하는 한 20대 여직원이 직장 상사 4명으로부터 3년간 지속적으로 성폭력에 시달렸다며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한 사실이 보도됐습니다.
- 해당 사건으로 포스코 조직문화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성비 불균형으로 인한 다양성 부재와 회사 특유의 군대식 조직문화가 조직 내 성 문제를 키웠다는 비판이 나왔으며, 포스코 직원 SNS 단체 대화방에서 성희롱과 성차별 발언이 이어지는 등 내부 제보도 잇따랐습니다. 지난해 50대 직원이 20대 신입 직원을 성추행한 사건이 벌어졌고,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도 한 직원이 협력사 직원을 성희롱해 정직 3개월의 징계를 받은 것도 알려졌습니다.
- 지난 8월 5일, 고용노동부 포항지청은 직장 내 성희롱 사건에 대해 직권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남녀고용평등법 제12조 및 14조를 위반한 사실을 확인하고 포스코에 최대 과태료 부과 가능 액수인 500만 원을 부과했습니다. 가해자에 대해서는 경찰 수사 넉달 만인 10월 18일, 4명 중 2명을 검찰에 송치하며 사건이 일단락됐습니다.
카카오 먹통 10시간... 서비스 품질, 데이터 보안, 동반 성장 이슈까지 도마 위에 올랐다
- 10월 15일, 성남시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톡이 10시간 가량 먹통이 됐습니다. 카카오톡뿐만 아니라 카카오T, 카카오맵 등 결제·모빌리티와 같은 카카오 모든 서비스가 일시에 중단됐기에 피해가 컸습니다.
- 몸집 키우기에만 급급했던 카카오가 안전망 구축은 뒷전이었다는 지적도 이어졌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카카오의 국내외 계열사는 194개인데, 이는 2020년에 비하면 40%, 2017년보다는 2배 이상 불어난 수치입니다. 더욱이 카카오톡의 서비스 오류가 잦다는 점도 카카오 측이 근본적인 대응이나 개선책을 내놓지 않았다는 비판을 불렀습니다. 카카오톡은 데이터 센터 사건 전인 10월 4일에도 20분 가까이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 윤 대통령이 카카오 먹통 사태 원인으로 온라인 플랫폼의 ‘시장 독과점’을 지목하면서, 해당 사안을 심의·의결하는 공정거래위원회의 대응도 본격화됐습니다. 11월 14일, 한기정 공정위 위원장은 기자간담회에서 "플랫폼 사업자의 독점력 남용행위, 특히 자사 상품·서비스 우대, 멀티호밍 제한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제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카카오와 계열사들은 지난 5년여간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모두 14차례 시정명령과 과태료 등 제재를 받았습니다.
- 해당 사건은 대중들의 인식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카카오에 대한 소비자 평판은 2022년 10월 먹통 사건이 일어난 시기 0.61점으로 전월 대비 0.28점 가량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건이 발생한 당일로부터 일주일(10월 15일~10월 21일)간 SNS 데이터 3만8246건 분석 결과 부정적 단어가 60.4%, 긍정적 단어가 37.6%를 차지했습니다. 카카오의 독점 문제를 지적하고, 소비자의 불편을 토로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습니다. 🔎소비자들은 카카오 사태를 두고 SNS에서 뭐라고 말했을까
불매 운동까지 촉발한 SPC 노동자 사망사고
- 10월 15일, SPC 계열사인 SPL의 제빵공장에서 20대 노동자가 샌드위치 소스 배합 기계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당시 현장의 미흡했던 안전 조치와 대응 등이 알려지며, SPC에 대한 대중의 공분이 더욱 커졌습니다. 심지어 이 공장에서는 일주일 전에도 유사한 사고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으며, 사고 8일만에 샤니 제빵공장에서도 손가락 절단 사고까지 발생했습니다.
- SPC와 계열사의 산재 사고는 지속적으로 증가세입니다. 10월 2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은주 정의당 의원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파리크라상과 피비파트너즈, 비알코리아, SPL 등 SPC 계열사 4곳에서 산재 피해를 본 사람은 2017년 4명이었으나 2021년 147명으로 37배 가량 늘어났습니다.
- 내부 직원들의 제보까지 더해지면서, SPC 불매 운동으로 이어졌습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주요 SNS에는 SPC가 운영하는 계열사 브랜드를 정리한 목록까지 공유됐습니다. 🔎소비자 불매 운동, 데이터로 깊이보기
- SPC 소비자 평판은 2022년 10월 사망 사건이 일어난 시기 0.17점으로 전월 대비 0.29점 가량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SPC는 해당 이슈로 인해 경쟁사인 오리온, CJ 평판 격차가 더 벌어졌습니다. 사건 발생 당일로부터 일주일(10월 15일~10월 21일)간 SNS 데이터 1만3658건 분석 결과 부정적 단어가 82.6%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다. 가장 많이 언급된 부정적 단어는 ‘불매(5275건)’였으며, 피해자와 직원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거나, SPC 대응에 대한 부정적 의견도 있었습니다. 🔎[DBR 기고] SPC는 왜 기업 평판 관리에 실패했나?